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졸중(뇌경색, 뇌출혈)에 대한 지식 총 정리!

by 모즈박사 2024. 5. 10.

뇌졸중이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손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

뇌졸중을 옛날 말로 '중풍'이라고 불러왔고 전 세계 인구 6명 중 1명은 자신의 일생 중에 뇌졸중을 경험합니다.

흔히 50대 ~ 70대에 많이 발생하고 있고 뇌졸중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뇌경색 (허혈성 뇌졸중)

뇌혈관이 막혀 뇌로 피가 이동하지 못해 뇌조직에 괴사가 오는 질병

뇌혈관에 혈전이 막아서 피가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뇌세포가 죽게 되면서 뇌경색이 오게 됩니다.

 

뇌경색 병원 치료 방법

뇌혈관 재개통치료 (막힌 혈관을 뚫어줌)

뇌혈관 재관류치료

→ 정맥 내 혈전 용해제 : 증상 발생 후 4.5시간까지

동맥 내 혈전제거치료 : 증상 발생 후 6~8시간까지 (최대 24시간까지 가능)

 

의식장애가 와서 깨어나지 않는 환자에게 하면 안 되는 행동

  1. 물을 먹이면 안 됩니다.
  2. 우황청심환을 먹이면 안 됩니다.

뇌경색은 초기에 증상 악화나 합병증이 많고 향후에도 재발할 수 있습니다. 사망률이 높고 장애가 남을 수 있는 질병이기에 전조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리게 되는데 땀을 많이 흘리면 우리 몸에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게 되면 혈전이 생기게 될 위험이 높아집니다. 혈전이 생성되면 뇌경색의 재발 또는 발병 위험도 함께 높아집니다. 날씨가 더워질수록 뇌경색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뇌출혈 (출혈성 뇌졸중)

뇌혈관의 혈관이 터져서 피가 고이게 되는 것을 뇌출혈이라고 합니다.

 

뇌졸중 전조 증상

아래와 같은 증상들이 어느 날 갑자기 생겼다고 하면 지체하지 말고 가까운 신경과 전문의가 있는 응급실을 꼭 방문하셔서 정확하게 검사하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뇌졸중은 간단하게 말하면 갑자기 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질환이기에 굉장히 무서운 질병입니다.

 

전조증상의 경우 아래와 같은 증상이 일어났다가 5분에서 10분 내로 귀신같이 싹 없어지는데 '내가 꿈을 꿨나? 착각했나? 오늘 조금 피곤한가? 근데 지금은 괜찮네' 하고 병원을 안 가시면 절대 안 됩니다. 증상이 잠시 사라진 건 혈관이 막혔다가 혈전 용해 성분 때문에 뚫려서 갑자기 혈액이 다시 들어가니까 괜찮아진 겁니다. 그런데 동맥경화라는 위험 병변은 몸에 그대로 남아있어서 재발할 위험이 굉장히 높습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을 경험하신 분은 혈전 용해 성분으로 인해 다시 괜찮아졌을 때 바로 응급실로 가야 한다고 합니다.

  1. 기억력 저하 / 의식 저하 / 뇌전증 발작
  2. 심한 두통
  3. 물체가 2개로 보임(복시) / 시야장애
  4. 한쪽 아래쪽 얼굴 안면 마비
  5. 언어 장애 / 말할 때 발음이 어둡고 혀가 치우침
  6. 팔, 다리 힘이 빠지며 마비
  7. 얼굴, 팔, 다리 감각 저하 (핀으로 찔렀을 때 감각이 둔함)
  8. 균형장애 / 어지럼증
  9. 몸 한쪽 근력 저하
  10. 세상이 빙빙 돌고 구토

하지만 뇌경색, 뇌출혈 즉 뇌졸중이라고 해서 모두 위험한 후유증이 남는 것은 아닙니다. 심하지 않게 온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잘 낫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조증상에 해당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면 지체하지 마시고 응급실 또는 뇌졸중센터를 방문하셔서 골든타임을 놓치지 마셔야 합니다.

 

뇌졸중 자가진단

  1. '이~'하고 웃지 못하는 경우
  2. 두 손을 앞으로 뻗지 못하는 경우
  3. 발음이 어눌하거나 통하지 않는 경우
  4. 시선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
  5. 말을 하지 못하는 경우
  6. 상황에 맞지 않는 엉뚱한 말을 하는 경우
  7.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8. 양쪽 눈으로 보고 있는데 한쪽 일부가 보이지 않는 경우
  9. 막이 낀 것처럼 회색으로 가려지거나 이상하게 일그러져 보이는 경우
  10. 둘로 겹쳐 보이는 경우

뇌졸중이 아닐 수 있다는 판단보다는 응급실을 바로 방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뇌경색 예방

고칠 수 없는 위험 요인

  1. 나이 : 고령
  2. 성별 : 남자
  3. 가족력

고칠 수 있는 위험 요인

  1. 고혈압
  2. 흡연 (금연은 필수)
  3. 과음 (술을 줄이는 것이 좋음)
  4. 당뇨병
  5. 경동맥협착
  6. 심방세동
  7. 심장병
  8. 고지혈증

평소에 신체활동을 많이 하고 매일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담배는 피우는 순간 뇌혈관을 막아서 혈전이 생기기 때문에 간접흡연도 안 좋기 때문에 금연은 필수입니다. 

 

뇌경색에 좋은 음식

  • 모링가
  • 연어
  • 브로콜리
  • 파프리카
  • 적양파
  • 등 푸른 생선
  • 참치
  • 오메가 3
  • 사과
  • 고구마 / 토마토 / 버섯 (칼륨이 많이 들어있는 과일과 채소)
  • 아몬드 20개 (1일 기준)

** 모링가 : 인도 북서부,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 자생하는 나무로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인도의 산삼'이라고 알려져 있는 식물

** 등 푸른 생선 : 등 푸른 생선에 함유되어 있는 EPA나 DHA와 같은 영양소는 뇌혈관에 굉장히 도움을 주는 성분입니다.

** 사과와 배 : 속이 하얀 과일에는 식물성 섬유와 항산화 성분인 폴라보노이드라는 성분이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을 많이 늘려서 뇌혈관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 칼륨이 많이 들어있는 과일과 채소 : 몸속 나트륨을 배출시키는 화학적인 작용을 하여 혈압을 안정화시키는데 큰 작용을 합니다.

** 아몬드 : 뇌졸중과 심혈관질환을 포함한 만성질환에 대해 강력한 보호작용을 하는 식물성 화합물을 합류합니다. 과잉섭취하면 소화능력이 떨어지거나 살이 찌기 때문에 하루에 20알까지만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뇌경색에 나쁜 음식

  • 동물성 지방
  • 달걀노른자
  • 육류는 가급적 수육으로 섭취
  • 트랜스지방 (마가린, 튀긴 음식)
  • 단순당(탄산음료)과 정제된 복합당(밀가루, 쌀가루로 만들어진 과자)
  • 국수, 떡, 빵, 피자
  • 술과 담배 (뇌졸중이 한 번이라도 온 환자는 동맥경화가 있는 상태이므로 한 잔의 술이라도 피하는 게 좋음)

육류는 과하게 섭취하면 안 되고 가급적이면 기름이 있는 부위는 안 먹는 것이 좋습니다. 최대 주 2회까지만 먹는 것이 가장 괜찮습니다.

달걀의 경우 흰자는 단백질 덩어리라서 괜찮지만 노른자는 콜레스테롤 양이 너무 많기 때문에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